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python 강의
- 슬픔
- 인생
- 공부
- C++
- dynamic programming
- 2020
- 2021
- python 강좌
- 백준
- 파이썬 강좌
- mmcv
- 자작시
- 알고리즘
- BOJ
- 계획
- 파이썬
- 파이썬 강의
- dp
- mmdetection
- 강좌
- 강의
- 2024
- it
- 자살
- 철학
- python
- 프로그래밍
- 라즈베리파이 모니터
- Today
- Total
목록
전체 글
(128)
반응형
Stargazer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보니 궁금해졌다. name과 class 모두 동일하게 여러요소에 중복하게 쓸 수 있는데, 그 차이점이 도대체 뭘까? 근본적으로 name은 개인을 구별하기 위함이지만 중복이 가능하고, (말그대로 '이름' -> 동명이인 존재 가능) class는 특정 그룹을 묶을때 사용한다. 그래서 중복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name은 css에서 선택자가 없으므로 사용이 불가하고, 반대로 class는 선택자 있어서 css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주식 공부한다고 해놓고 놀기만해서 간만에 '파이썬 증권 데이터 분석' 이라는 책을 펼쳤다. 실습하려는데 시작부터 막히길래 (188pg) 뭐지 싶어서 2시간을 검색해서 겨우 해답을 찾았다. 내가 막힌 부분은 네이버 증권에서 각 종목의 일별 시세를 가져오는 예제 였는데 urlopen을 이용한 예제였다. 그런데 아무리 해봐도 AttributeError: 'NoneType' object has no attribute 'a' 가 뜨길래 url이 잘못 됐는지 문자 하나하나 확인하고, 코드가 잘못됐는지 예제랑 비교해봐도 똑같아서, 내가 모르는 문법이 있나? 새로 바뀐 문법이 있나? 하면서 이리저리 애꿎은 파이썬 문법만 뒤졌다. 이 오류 같은 경우에는 내가 불러온 html에는 해당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내가 다..
안녕하세요? COM2IT 입니다. 오늘은 제어문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 (IDLE을 열어서 직접 실습이 가능합니다) 제어문이란? 제어문은 조건문, 반복문, 분기문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서 실행하는 코드를 다르게 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배고프면 밥을 먹고, 그렇지 않으면 간식을 먹어라." 라는 문장은 조건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배고프면"이라는 조건에 따라, 만족하면 '밥먹기'를 실행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간식 먹기'를 실행합니다. 반복문은 어떤 조건을 만족하면 반복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1.5L 물통을 채우고 있다. 1.5L가 다 찼으면 가지고 나가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 채운다."라는 문장이 있을 때, "물을 채울 때 까지 반복한다" 는 반복문에 해당 할 수..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누군가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네 그 누군가의 삶도 그들과 같았을까 하염없이 걷고 걷다 그저 한번 쉬어보니 보이지 않게, 빠르게, 빠르게 나를 지나쳐 지나간다. 무언가를 떠올릴때 내가 느꼈던 그 감정을 표현하고자 외치고, 소리치고, 악을 쓰고 소리쳐본다. 나는 슬픈, 혹은 그래서 기쁜, 그러나 외로운, 하지만 편안한, 내가 외친 소리는 그저 의미없는 말들의 나열일 뿐이었다. 언젠가 누군가 나를 떠올린다면 그저 다만 내가 원하는건 가만히 서서 나를 바라볼 것, 귀 기울여 줄 것, 그리고 다시 지나쳐 갈 것
안녕하세요! 모두의 IT 세상의 COM2IT 입니다.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s) 산술 연산자는 사칙연산 같은 연산자를 들을 말합니다. 변수 a = 4, b = 10 가 있다고 가정하고, 각 연산자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산자 의미 예시 결과 + 더하기 a + b 14 - 빼기 a - b -6 * 곱하기 a * b 40 / 나누기 b / a 2.5 % 나머지 b % a 2 ** 제곱 a ** 2 16 // 몫 b // a 2 비교 연산자(Comparison Operators) 비교 연산자는 두 값을 비교해서 연산자에 따른 참 또는 거짓의 값을 반환하는 연산자입니다. a = 1, b=2 라 가정해보면, 연산자에 따..